결과도, 과정도 함께! 강의하는아이들 초등부 8월 월말평가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5-09-17 14:45 조회25회 댓글0건

본문

○ 8월 월말평가는

‘결과와 과정의 균형’을

더욱 선명하게 보여준 시간이었어요.

특히 ‘부스터상’과 ‘디테일상’이

학생들의 성장을 빛나게 만들어 주었답니다.

 

 

※ 학년별 현행 진도 기반, 서술형 평가

강의하는아이들의 수업은 맞춤진도로 운영되지만,

월말평가만큼은 학년 기준 현행 진도에 맞춰 출제돼요.

 

◈ 난이도 중·상·최상 고르게 구성

◈ 모든 문제 서술형 주관식

 

아이들은 익숙하면서도 낯선 형식 속에서

진지하게 문제에 몰입했고,

평소 갈고닦은 사고력과 풀이 습관을 보여주었어요.

 

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

 

○ 정답 확인보다 중요한 건, 이해의 과정

 

시험 직후 이어진 하브루타 시간.

 

아이들은 친구와 함께 풀이를 설명하고 비교하며,

 

◈ 자기 사고 과정을 점검하고

◈ 표현력을 다듬고

◈ 새로운 관점을 얻는 경험을 했어요.

 

정답 여부만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,

“내가 어떻게 생각했는지”를 공유하는 시간이 되었답니다.

 

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 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 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

 

 부스터상 & 디테일상, 성장을 비추다

이번 8월 월말평가의 핵심은 바로,

‘과정을 담아내는 시상’이었어요.

 

○ 부스터상

부스터상은 단순히 점수를 잘 받은 학생이 아니라,

지난 시험보다 얼마나 성장했는지를 기준으로 선정합니다.

점수가 오른 건 단순한 ‘결과’일 뿐,

그 안에는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쌓아온 노력이 숨어 있어요.

 

아이들이 스스로 “내가 해냈다!”는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,

노력의 흔적을 인정해 주는 상이 바로 부스터상입니다.

 

○ 디테일상

디테일상은 상위권 학생 중에서도

풀이 과정의 완성도를 기준으로 선정했어요.

 

정답만 맞힌 것이 아니라,

• 논리적으로 문제를 전개하고

• 친구도 이해할 수 있을 만큼 표현을 다듬으며

• 풀이에 설득력을 담아낸 학생들이 수상했답니다.

 

학생들의 풀이에는 답에 도달하기까지

어떤 생각을 했는지가 고스란히 드러나 있어요.

즉, 단순히 ‘맞았다! 틀렸다!’가 아니라

‘어떻게 풀어냈는가’를 보여주는 풀이였지요.

 

 

• 초4 한이자벨라

          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

문제의 조건을 하나하나 확인하며 풀어낸 모습이 돋보였어요.

이등변 삼각형에서 한 변의 길이가 5cm인 경우와 6cm인 경우의 수를

명확히 나누어 서술한 점이 뛰어났습니다.

 

 

• 초5 박서혜

          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

도형(□,△)을 이용해 식을 풀어낸 점이 돋보였어요.

더 발전하면 방정식 학습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풀이입니다.

 

 

• 초6 남태경

          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

 

 

긴 지문과 복잡한 관계를 단계적으로 쪼개어 접근한 점이 탁월했습니다.

세 학생 모두

문제를 한눈에 해결하기 어려운 조건 속에서

사고 과정을 글과 식으로

치밀하게 남겼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.

 

정답만 맞히는 것이 아니라

다른 친구도 이해할 수 있도록

생각의 흐름을 ‘설명 가능한 풀이’로 남긴 것

이것이 바로 강의하는아이들이 추구하는

‘생각하는 공부’입니다.

 

○ 데이터 분석으로 이어지는 수업

평가 결과는 단순 발표로 끝나지 않아요.

◈ 단원별 약점 파악

◈ 반복 실수 분석

◈ 사고 과정 점검

 

이 모든 데이터가 다음 수업의 방향으로 반영되어,

아이들의 학습이 한 단계 더 나아갈 수 있도록 이어집니다.

 

 

 결과와 과정, 두 날개로 성장합니다

8월 월말평가는 결과와 과정,

그리고 성장을 비춰주는 상까지 더해져

아이들에게 배움의 새로운 의미를 전해주었어요.

 

◈ 집중하는 눈빛

◈ 친구에게 설명하며 성장하는 순간

◈ 결과를 넘어 과정을 인정받는 경험

 

강의하는아이들은 이렇게

오늘도 ‘생각하는 공부’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